본문 바로가기

👩‍💻Deep Wide School/💘Product Design

앱/웹 서비스 디자인 UX Features list

728x90
반응형

Feature List 

퍼소나를 만들고 퍼소나 기반 유저 시나리오를 만들었다면, 이제 본격으로 앱/웹에서 구현할 Feature List를 작성해야 한다. 어떤 기능들이 필요한 지, 말 그대로 기능을 리스팅해보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들어본 '플로우 차트'나 '와이어프레임'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런 단계가 필요하다.

1. Feature List
2. User Task Flow
3. IA (Information Architecture)
4. Wireframe
5. Workflow

마치 우리가 리서치를 기반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진행하고, 퍼소나를 만든 것처럼 이전 단계를 토대로 진행될 때 가장 성공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한 단계씩 살펴보며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구글에 UX Feature List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이미지들을 발견할 수 있다. 

 

기능들이 리스팅 되어있고, 우선순위가 매겨져 있다./ 출처: http://www.zero2eleven.com/ux-design-process/#feature-prioritization

 

 

 

How to make Feature List?

Feature List는 어떻게 만들고 진행하는 것인지에 대한 간단한 유튜브 영상을 발견했다. 

 

UX feature list - UX design course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hGC4qYeUyoE&feature=youtu.be

 

영상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1. 먼저 만들었던 퍼소나를 다시 읽어본다. 이 서비스를 제공할 퍼소나가 누구인지, 그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실히 한다. 

2. 이 서비스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떠올리며 포스트잇에 자유롭게 하나씩 적어서 벽에 붙인다.

ex. 온라인 트레이닝 사이트를 제작하려고 한다면, '영상 포럼을 제공한다', '라이브챗을 제공한다', '북마킹 기능', '재생, 정지 버튼' 같은 것들을 자유롭게 적어서 붙인다. 

※이때, '나쁜 기능'이라는 것은 없다. 떠오르는 모든 것들을 적어서 붙이다. 수십, 수백개의 기능들이 나올 수 있다. 

 

서비스디자인과 뗄레야 뗄 수 없는 포스트잇 /Youtube: Bring Your Own Laptop

 

3. 많은 기능들이 벽에 붙었을 때, 특히 팀으로 함께 한다면 다같이 모여서, 벽에 붙어있는 유사한 기능들을 겹쳐서 붙이며 정리를 해나간다.

4.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기능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며 기능을 좁혀가는 논의를 진행한다. _ 해당 기능 없이 이 서비스가 돌아갈 수 있는가?를 질문해본다. 의견이 갈릴 수 있는 것들은 일단 킵해둔다.

ex. 로그인/로그아웃 기능 없이 이것이 돌아갈 수 있는가? 

5. 이제 남겨진 기능들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언제나 비용은 제한적이며, 개발자, CEO,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최적의 기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구현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얼마나 들지, 얼마나 필수적인지 등을 논의하며 정한다. 

 

Tip 여기서 팀 단위로 진행할 때, 몇 가지 재미있는 팁을 알려준다.

Monopoly Money Way

간단히 말하면, 게임머니를 각각 가지고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능들을 사는 것이다.

 

Monopoly Money/ 이미지 출처: 위키피디아

 

1) 모든 팀원은 게임머니를 동등하게 나눠갖고 시작한다.

2) 10-20개 정도로 추려진 Feature List를 가져온다.

3) 각각의 기능에, 각각의 팀원이 이 기능의 가치를 매겨서 생각한 만큼의 게임 머니를 낸다. 이때 발생하는 고민들, 결정에 대한 이유와 근거 등을 함께 논의해 나간다. 

여기서 핵심은, 어떤 기능에 많은 돈을 내기 위해서는 다른 기능에서 그만큼의 돈을 덜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제작에 들어갈 때, 한정된 예산으로 각각의 기능에 들어갈 인풋을 분배하게 된다. 대개는 모든 기능을 최대로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을 '분배'해며 생각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꼭, 게임머니가 아니어도 되고, 어떤 형태든 물리적인 뭔가면 된다.)

4)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가격을 매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5) 모든 게임머니 거래가 끝나면, 어떤 기능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았는지 순서를 매겨본다. 어떤 이유들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서로 이해할 수 있어서, 기능들의 우선순위에 모두가 보다 원활하게 합의할 수 있다. 

 

 

기능과 매긴 가격, 이유를 표로 만들어서 의견을 공유해볼 수 있다./ 출처: https://uxmastery.com/design-games-divide-the-dollar/

 

 

포커 버전

유사한 방식인데, 포커 버전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얼마를 낼 지, 모든 팀원이 동시에 내려놓는 것이다. 논의에 함께하는 Boss의 눈치를 보며 그의 의견을 따라갈 위험요소(Boss Bias)를 피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게임 같은 형식이라 좀더 부드럽고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feature list가 무엇인지,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알아보았다. 현재 진행중인 미니 프로젝트에 적용도 해보고, 앞으로 나도 빨리 팀 단위로도 진행해보고 싶다!


참고자료

Design Games — Divide the Dollar

https://uxmastery.com/design-games-divide-the-dollar/

Design Games — Divide the Dollar - UX Mastery

Summary: “Divide the Dollar” is the fourth in our series of Design Games. In Divide the Dollar, participants are provided with a list of features and $100 to ‘spend’. Divide the Dollar is the fourth in our series of Design Games. Is this your firs

uxmastery.com

Youtube_ UX feature list - UX design course
https://www.youtube.com/watch?v=hGC4qYeUyoE&feature=youtu.be

 

The UX Design Process (다시 정독해보려고 한다)
http://www.zero2eleven.com/ux-design-process/#feature-prioritization

UX Design Process | Zero 2 Eleven | Rich Abronson | UX for Web & Mobile

Rich Abronson has over 20 years of experience and formal training in the UX design process. Designing a website or app is both art and science.

www.zero2eleven.com

 

728x90
반응형